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목표권 교수를 대상으로 "수업혁신 교수강화 교수법 워크숍: 융합교육으로 지역을 잇다"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목표권 교수를 대상으로 "수업혁신 교수강화 교수법 워크숍: 융합교육으로 지역을 잇다"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본 사업단의 김가영 연구원이 좋은세상연구소를 대상으로 "기후위기와 제로 웨이스트"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김가영 연구원이 좋은세상연구소를 대상으로 "기후위기와 제로 웨이스트"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참여한 '생활 실험실(리빙랩)로 전시 관람객들 일상과 기후 위기를 연결'의 내용으로 '경남도민일보'에 게재됨. 설명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참여한 '생활 실험실(리빙랩)로 전시 관람객들 일상과 기후 위기를 연결'의 내용으로 '경남도민일보'에 게재됨.
본 사업단의 성정희 교수가 경상남도교육청을 대상으로 "2025. 생태·환경교육 직무연수(심화)" 교육을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성정희 교수가 경상남도교육청을 대상으로 "2025. 생태·환경교육 직무연수(심화)" 교육을 진행함.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2025 한국외대 극지연구센터 학술대회에서 "북극 거버넌스의 제도적 복잡성과 기후변화 대응: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를 중심으로"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2025 한국외대 극지연구센터 학술대회에서 "북극 거버넌스의 제도적 복잡성과 기후변화 대응: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를 중심으로"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참여한 배재대 한국·시베리아센터, 13~14일 ‘기후변화와 극지’ 국제학술회의 개최에 대한 내용이 한국대학신문에 게재됨. 설명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참여한 배재대 한국·시베리아센터, 13~14일 ‘기후변화와 극지’ 국제학술회의 개최에 대한 내용이 한국대학신문에 게재됨.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가 EAI 아카데미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국의 기후환경 외교"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가 EAI 아카데미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국의 기후환경 외교"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가 하와이 대학교에 방문해 제주도 사례 연구 발표 및 하와이 대학교와의 공동연구 가능성을 모색함. 설명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가 하와이 대학교에 방문해 제주도 사례 연구 발표 및 하와이 대학교와의 공동연구 가능성을 모색함.
본 사업단의 기업팀과 교육팀이 공동으로 탄소중립 실천 계획을 위한 IDEA 리빙랩을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기업팀과 교육팀이 공동으로 탄소중립 실천 계획을 위한 IDEA 리빙랩을 진행함.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와 김지연 연구원이 참여한 논문 '도시 기후재난 대응에서 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 동기와 역할: 기업은 왜, 어떻게 참여하는가?'가 도시연구에 게재됨. 설명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와 김지연 연구원이 참여한 논문 '도시 기후재난 대응에서 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 동기와 역할: 기업은 왜, 어떻게 참여하는가?'가 도시연구에 게재됨.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제28회 도시연구세미나에서 "도시 기후 재난 대응에서 기업의 역할: 글로벌 사례와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제28회 도시연구세미나에서 "도시 기후 재난 대응에서 기업의 역할: 글로벌 사례와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2025 한국국제정치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다층적 기후 적응 거버넌스 구조와 시민참여의 상호작용: 볼더 시의 경험"에 대해 발표함. 설명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2025 한국국제정치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다층적 기후 적응 거버넌스 구조와 시민참여의 상호작용: 볼더 시의 경험"에 대해 발표함.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들이 대두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기후 적응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적응 정책은 기존의 하향식 접근이 아닌,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상향식 의사결정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이 적합한 방식으로 제기 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책은 현장 중심적이며 실행 가능한 기후적응 리빙랩의 가이드를 담았다. 설명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들이 대두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기후 적응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적응 정책은 기존의 하향식 접근이 아닌,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상향식 의사결정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이 적합한 방식으로 제기 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책은 현장 중심적이며 실행 가능한 기후적응 리빙랩의 가이드를 담았다.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한국기후변화학회 2025년 상반기 학술대회에서 "기후적응 정책에서 시민참여 제도화 모델 비교: 영국, 일본, 독일 사례 분석"에 대해 발표함. 설명 본 사업단의 김지연 연구원이 한국기후변화학회 2025년 상반기 학술대회에서 "기후적응 정책에서 시민참여 제도화 모델 비교: 영국, 일본, 독일 사례 분석"에 대해 발표함.
본 사업단의 양성빈 연구원이 한국기후변화학회 2025년 상반기 학술대회에서 "기후적응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리빙랩 접근의 필요성과 활용 전략"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양성빈 연구원이 한국기후변화학회 2025년 상반기 학술대회에서 "기후적응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리빙랩 접근의 필요성과 활용 전략"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본 사업단의 성정희·최지은·정연경·김지연 연구원이 서대문구청을 대상으로 "2025 기후적응 분야 환경 강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성정희·최지은·정연경·김지연 연구원이 서대문구청을 대상으로 "2025 기후적응 분야 환경 강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가 한국ESG협의회를 대상으로 "기후적응 관점에서 은행의 RISK & CHANCE"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가 한국ESG협의회를 대상으로 "기후적응 관점에서 은행의 RISK & CHANCE"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