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업단의 김자림교수가 한국PR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에서 "환경 공중 세분화 : 기후변화 관련 정보 추구와 액티비즘 행동 연구" 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김자림교수가 한국PR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에서 "환경 공중 세분화 : 기후변화 관련 정보 추구와 액티비즘 행동 연구" 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본 사업단의 교육팀은 (재)통영시지속가능발전교육 재단(통영RCE세자트라숲) 활용 방안 및 기존 교육과정 개정 시 리빙랩 및 기후적응 내용 프로그램 추가를 제안함. 설명 본 사업단의 교육팀은 (재)통영시지속가능발전교육 재단(통영RCE세자트라숲) 활용 방안 및 기존 교육과정 개정 시 리빙랩 및 기후적응 내용 프로그램 추가를 제안함.
본 사업단의 교육팀이 통영 거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해양 사용자 중심의 기후적응 주제 리빙랩 관련 '기후적응 리빙랩 선도자 교육 과정' 을 진행하였다. 설명 본 사업단의 교육팀이 통영 거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해양 사용자 중심의 기후적응 주제 리빙랩 관련 '기후적응 리빙랩 선도자 교육 과정' 을 진행하였다.
본 사업단의 홍진규 교수가 공저한 논문 '최근 동아시아 주 열파 인자 분석'이 Geoscience Frontiers에 게재됨. 설명 본 사업단의 홍진규 교수가 공저한 논문 '최근 동아시아 주 열파 인자 분석'이 Geoscience Frontiers에 게재됨.
본 사업단의 류지은 연구원이 공저한 논문 '지역 특성을 고려한 무더위쉼터의 입지특성 분석 및 평가 모델 개발'이 환경 영향 평가에 게재됨. 설명 본 사업단의 류지은 연구원이 공저한 논문 '지역 특성을 고려한 무더위쉼터의 입지특성 분석 및 평가 모델 개발'이 환경 영향 평가에 게재됨.
본 사업단의 이수경 연구원과 이예영 연구원이 지속 가능성과 전환의 시대: 글로벌 도전과 대응에서 발표를 진행함. 설명 본 사업단의 이수경 연구원과 이예영 연구원이 지속 가능성과 전환의 시대: 글로벌 도전과 대응에서 발표를 진행함.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의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주요 이슈 및 지방 정부 시사점에 대한 내용이 수원시정연구원 정책 브리프에 게재됨. 설명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의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주요 이슈 및 지방 정부 시사점에 대한 내용이 수원시정연구원 정책 브리프에 게재됨.
본 사업단의 정연경 연구원이 참여한 '인천 광역시 무더위쉼터 의제 발굴 워크숍'이 진행됨. 설명 본 사업단의 정연경 연구원이 참여한 '인천 광역시 무더위쉼터 의제 발굴 워크숍'이 진행됨.
본 사업단의 심태용 연구원이 2024 응용생태공학회에서 "수문 변동과 수생태 반응 분석을 통한 하천유량 관리 체계 제안"에 대해 발표함. 설명 본 사업단의 심태용 연구원이 2024 응용생태공학회에서 "수문 변동과 수생태 반응 분석을 통한 하천유량 관리 체계 제안"에 대해 발표함.
본 사업단의 이희섭 연구원, 이경호 연구원, 이예영 연구원과 이태동 교수가 공저한 논문 '에너지자립마을 활성화에 대한 질적메타종합'가 공간과 사회에 게재됨. 설명 본 사업단의 이희섭 연구원, 이경호 연구원, 이예영 연구원과 이태동 교수가 공저한 논문 '에너지자립마을 활성화에 대한 질적메타종합'가 공간과 사회에 게재됨.
본 사업단의 소일(필명) 작가가 "액트 나우: UN에서 채택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17가지 행동"을 집필함. 설명 본 사업단의 소일(필명) 작가가 "액트 나우: UN에서 채택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17가지 행동"을 집필함.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와 잠재력 모델에 관한 전반적인 개요 및 소개. 특히 태양광 발전 잠재력에 초점을 맞춰 이뤄졌으나, 풍력 발전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현안들에 관해 개괄적으로 소개함. 설명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와 잠재력 모델에 관한 전반적인 개요 및 소개. 특히 태양광 발전 잠재력에 초점을 맞춰 이뤄졌으나, 풍력 발전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현안들에 관해 개괄적으로 소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