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_icon
기후 변화 리빙랩 시스템 기업 · 지자체 · 주민 등 주체별 기후적응 리빙랩 실행 기법을 개발하고,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기후 변화 리빙랩 시스템 기업 · 지자체 · 주민 등 주체별 기후적응 리빙랩 실행 기법을 개발하고,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INVENTORY
인벤토리
지자체 폭염대책 현황과 특성, 중장기적 폭염대책 수립 방향성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웹사이트에서는 ...
2025
01
제2차 송파구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웹사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
2025
01
광주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웹사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
2025
01
광주 남구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웹사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2025
01
경기도 파주시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웹사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
2025
01
서울시 중구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웹사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
2025
01
툴킷 TOOLKIT
각 단계별 리빙랩의 과업 및 이 과업을 달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사례나 도구등을 설명한 페이지입니다.
toolkit_img
PERFORMANCE
리빙랩 운영 성과
1) 과제명/리빙랩명:“기후적응 교육강사 양성과정”기획 워크숍 2) 연구 목표 - 기후적응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인식 - 리빙랩 방법을 활용한 기후적응 교육 이해 - 서대문구의 기후위기 적응 교육 및 강사 양성 필요성 인식 - 서대문구 특화 기후적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후적응 교육 강사 양성과정(가칭)”프로그램(2025년) 이해 및 교육 커리큘럼 시범사업 이행(2026년) 3) Time Line 구 분 주요 내용 비고 1차 (11/8) 인사 및 참여자 소개 사회자 워크숍의 목적 및 과정 소개 사회자 (강의) 서대문구 환경교육현황 및 향후계획 (서대문구 환경교육 장소, 프로그램, 환경교육 관련 기관 등 소개) 서대문구 (강의) 기후적응, 리빙랩 강의 연세대 (경험공유) 환경교육 경험 사례 참여자 워크숍의 주요 결과물 참여자 2차 워크숍 일정 확인 사회자 2차 (11/15) 인사 사회자 1차 워크숍 결과 및 2차 워크숍 일정 사회자 (목적) 기후적응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의 목적 참여자 (교육방법) 교육대상, 방법, 횟수, 기간 및 시간 등 참여자 (교육내용) 강사양성 프로그램 교육 내용 참여자 향후 계획 공유 사회자 소감나누기 참여자 4) 리빙랩 참여자: 초등학교 교사, 학부...
2024.12.10
지자체
1) 리빙랩 명: 2024년 서대문구-연세대 에어컨 실외기 차양막 리빙랩 사업 2) 연구 목표: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지자체 차원에서 기후적응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필요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한다. 특히, 리빙랩 방식을 활용한 지자체 사업의 효과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지역사회가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실험적이고 협력적인 기후적응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기후적응행동으로 제시되는 에어컨 실외기 차양막을 통해 실질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와 기후변화 적응력 향상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를 수집·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행동이 기후적응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명확하게 규명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자체의 기후적응 사업에 있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다른 지자체들이 이를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3) Time line 구분 일시 및 시간 주요내용 오리엔테이션 및 교육 활동 8월 10일 토요일 10:00 ~ 12:00 개요 (1): 에어컨 실외기 청소 (2): 차양막 설치 (3): 전력사용량 계측 이후 토론 방식 실외기 청소 활동 8월 10일 토요일 14:00 ~ 16:00 내용에서 ...
2024.07.01
교육
1) 과제명/리빙랩명: 기후적응 리빙랩 선도자 교육과정 2) 연구 목표 -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알고, 지역 및 업무영역에서 기후변화 영향 인식 - 기후위기 적응의 필요성 인식 - 기후적응을 위한 방안으로 리빙랩운영 목적과 방법 이해 3) 일정 회 차 교육과정 일시 강사/진행 1 사전 인터뷰 3월 25일(월)- 9일(금) 최지은 2 기후변화적응 3월 29일(금) 오후 3시-6시 강사: 홍진규 교수님 (연세대학교) 3 기후변화와 해양 수산, 어촌/연안 관리: 기후변화와 해양, 그리고 순환/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4월 5일(금) 오후 3시-6시 강사: 김용선 연구부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강사: 정윤환 기지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4 기후변화와 해양재해, 그리고 관광 4월 12일(금) 오후 3시-6시 강사: 유제선 박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5 리빙랩의이해 4월 26일(금) 오후 3시-6시 성정희, 최지은 6 기후적응 리빙랩교육 워크숍(1) 5월 3일(금) 오후 3시-6시 성정희, 최지은 7 기후적응 리빙랩교육 워크숍(2) 5월 17일(금) 오후 3시-6시 성정희, 최지은 8 사후 인터뷰 5월 22일(수)–31일(금) 최지은 4) 리빙랩 참여자 : 통영 거주 지역 주민 총 23명 5) 협력기관 : (재)통영지속가능발전교...
2024.07.01
COOPERATION
협력기관
image
인천광역시
image
통영시지속가능발전교육재단
image
통영RCE세자트라숲
image
인천연구원
image
서대문구
image
CCRI
image
CSE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