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Extra Form Output
지역 (Region) 한국 
부문 (Sector) 산업, 에너지 
주체 (Agent Cat) 단체 
종류 (Attribute) 학술 논문 
 
 
태그 리빙랩 지역사회 에너지 서울 대전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북촌 리빙랩, 성대골 리빙랩, 건너유 프로젝트) 3개 사례 소개 및 사례별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지역혁신과 리빙랩에 대한 이론적 배경 (과학기술혁신 및 지역혁신정책의 반성과 새로운 방향 모색,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운동, 선행연구 검토)
2) 북촌 IoT 리빙랩 , 성대골 에너지전환 리빙랩, 대전 건너유 프로젝트 사례 소개 및 유형과 특성 설명
3) 함의: 3개 사례는 공통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리빙랩 운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

 

[초록]

  최근 국내에서도 사회 주체(주민, 사용자 등) 주도형 혁신모델이자 지역 현장 기반형 혁신의 장으로서 리빙랩이 도입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으로 '리빙랩'을 명시하고 추진된 북촌 리빙랩, 성대골 리빙랩, 건너유 프로젝트 3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각 사례의 지역문제, 문제해결 목표, 참여주체 및 주체별 역할, 리빙랩 추진체계, 의의를 분석하고 리빙랩의 유형 특성을 도출했으며,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각 사례는 기술 활용 방식과 사용되는 기술의 특성은 차이가 있으나 과학기술 ICT와 지역문제 해결을 연계하고자 했으며 지역주민이 문제 발굴부터 기술 실험 및 확산 적용까지 리빙랩 전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공통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리빙랩 운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각 사례는 서로 다른 리빙랩 유형을 보이고 있는데, 북촌 IoT 리빙랩은 정부/지자체가 리빙랩 활동기반 조성 또는 행위자 활동을 지원하고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된 반면, 성대골 에너지전환 리빙랩과 건너유 프로젝트는 시민사회 스스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정의하고 기술을 탐색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61095896581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