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한국 | ||
---|---|---|---|
부문 (Sector) | 산업 | ||
주체 (Agent Cat) | 대학교(연구소)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리빙랩 대학 교육 교육 과정 |
대학 교육과정에 적용된 리빙랩 사례 분석을 통해 리빙랩을 통한 대학 교육과정 혁신모델(안)을 제언하는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 방법론과 국내외 사례
2) 대학에서 진행된 리빙랩 프로젝트 사례 분석
3) 국내 대학 내 리빙랩을 활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서의 리빙랩 적용사례 및 교육과정 혁신모델(안) 함의
[초록]
4차산업혁명시대 트렌드에 맞추어 기존 공급자 중심의 R&D의 한계성을 인식하고 사용자 참여 및 현장 지향성을 강조하는 리빙랩이 중요한 방법론으로 대두되고 있다.‘우리 마을 실험실’,‘살아있는 실험실’, ‘일상생활 실험실’이라는 의미로 특정 지역의 생활공간을 설정하고 공공, 민간, 시민 등이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리빙랩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지역문제해결과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할 수 있는 주요한 모델로 국내에서도 확산되고 있으며, 대학에서 리빙랩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을 통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리빙랩 적용방법론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다양한 국내·외 리빙랩 적용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대학 교육과정에 적용된 리빙랩 사례 분석을 통해 리빙랩을 통한 대학 교육과정 혁신모델(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증 측면에서 국내 리빙랩은 기존 테스트베드와 큰 차이 없이 기술의 성공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운영되고 있다는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사용자 참여 측면에서 사용자(주민 등)을 혁신 주체로 참여시킨다고 하고 있으나 실제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지 못하며, 교육 측면에서도 이론 중심의 리빙랩 교육 방식에서 탈피하여 현장 중심/실전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로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주장하였다. 인재양성 측면에서도 리빙랩은 사회를 혁신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필요하며, 리빙랩 문화 확산을 통해 지역 문제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설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리빙랩 적용사례 및 교육과정 혁신모델(안)은 국내 대학 내 리빙랩을 활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75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