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Extra Form Output
지역 (Region) 한국 
부문 (Sector) 산업 
주체 (Agent Cat) 대학교(연구소) 
종류 (Attribute) 학술 논문 
 
 
태그 리빙랩 지역사회 대학 교육

지역사회 혁신 교과목에 리빙랩 방법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연계한 협업의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 및 지역사회 연계 대학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
2) 지역사회 연계 프로젝트 수업 사례 분석
3) 리빙랩을 통한 지역사회 연계 교과목 운영 결과 및 성과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혁신 플랫폼인 대학 리빙랩(Living Lab)으로 지역사회 혁신 교과목을 운영하고, 그 실제 운영사례의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연계한 협업의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22학년도 1학기에 C대학교 기술교육과에서 개설된 교양 수업인 ‘창의 발명과 팀 문제해결’ 교과목에서 리빙랩을 적용하였다. 수업은 총 15주로 진행되었으며, 가장 핵심이 되는 활동은 지역사회의 의제를 발굴하여 기획리빙랩으로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팀별 프로젝트 활동으로 12주간 운영하였다. 대학교육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리빙랩(Living Lab) 교과목을 운영한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과목의 운영은 대학 교육의 현장지향성 향상과 지역사회와의 협력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둘째, 리빙랩 교과목 운영은 교육 및 연구혁신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셋째, 리빙랩을 통해 대학생 중심의 지역사회 혁신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대학에서 리빙랩이 활성화되기 위한 정책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교과 운영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리빙랩 운영 교과를 확장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와의 커뮤니티 플랫폼 형성과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넷째, 리빙랩이 대학교육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최종결과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향후 이러한 교과목 운영사례들이 많이 제시되어 대학교육에서 리빙랩이 지속가능한 운영이 되기를 기대한다.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201916&language=ko_KR&hasTopBanner=tru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