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 | 시립대 | |||||||||||
|---|---|---|---|---|---|---|---|---|---|---|---|---|
| 종류 | 학술대회 | |||||||||||
| 설명 | 본 사업단의 김채영 연구원이 2024 한국기후변화학회에서 "수원시 기후위기 적응사업의 중요도 평가 : AHP 분석기법을 적용하여"에 대해 발표함. | |||||||||||
1) 발표자명: 김채영
2) 학술대회명: 2024 한국기후변화학회
3) 발표 주제: 수원시 기후위기 적응사업의 중요도 평가 : AHP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4) 발표 내용
최근 기후위기 가속화로 인해 기후재난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수도권 집중 폭우로 발생한 도시침수(‘22.8), 태풍으로 포항시 냉천 범람으로 인한 산업시설 가동 중단(‘22.9) 등 전국적으로 기후재난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위기 정책 대응의 필요성과 지자체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위기 적응 효과 측면에서 효과가 높은 사업에 많이 투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원시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사업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정책전문가 및 시민을 대상으로 계층 분석법(Analystic Hierarchy Process)을 위한 쌍대비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3차 수원시 기후위기 적응대책은 물관리, 생태계, 국토·에너지, 산업·농축산, 건강, 기후변화 적응기반의 6개 부문에 대한 세부사업을 수립하고 있다. 1차적으로 6개 부문별 중요도를 분석하였으며, 2차적으로 6개 부문에 대한 24개 세부 사업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6개 부문 및 24개 세부사업에 대해 1:1 쌍대비교를 통해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6개 부문별 중요도 분석 결과, 물관리 부문이 26.0%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건강(25.1%), 생태계(16.1%), 국토/에너지(15.4%), 기후변화 적응기반(10.6%), 산업/농축산(6.8%) 순으로 나타났다. 24개 세부사업에 대한 우선순위 도출 결과, 중점관리지역 침수예방 하수도 정비 사업(12.6%),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 취약계층 맞춤형 관리(8.1%), 도심배수시설 유지관리(7.1%), 폭염 대피시설 개선 및 활성화(6.6%) 사업이 높게 나타났다. 6개 부문 중 물관리와 건강 부문의 세부사업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기후변화 정책 설계 시 물관리와 건강 부문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기후변화 적응 효과 분석을 위한 사업 우선순위를 도출한 연구로, 본 연구 결과는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지원을 위한 정책 설계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