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Extra Form Output
기업 
종류 학술대회 
설명 본 사업단의 이예영 연구원이 2024 한국정치학회 하계국제학술대회에서 "기후변화와 중앙아시아의 (비)이주 메커니즘-정치적 요소를 중심으로 " 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1) 발표자명: 이예영

2) 학술대회명: 2024 한국정치학회 하계국제학술대회

3) 발표내용

 

본 논문은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비)이주 현상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앙아시아는 대륙성 건조 및 반건조 기후로 인해 가뭄과 강수량 변동에 민감하며, IPCC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중앙아시아의 기온은 약 2~4℃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로 인해 대륙의 건조도 증가와 빙하 감소가 가속화되며 다양한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는 농업용수와 식수 자원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해 경제적 손실과 함께 주민들의 생계를 위협하며 이주 현상을 촉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중앙아시아는 경제 및 제도적 대응 역량이 부족한 개발도상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들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환경 (비)이주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기후변화 적응으로서 이주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 이주 결정 과정에서 정치적 요인이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요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탐구하였다. 또 기후변화 적응 전략으로서 이주의 한계로 비이주의 개념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중앙아시아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개인의 열망과 역량 등 다양한 제약 및 촉진 요인이 이주 결정에 최종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치적 요인과 개인의 열망과 역량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중앙아시아의 (비)이주 메커니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환경 이주 및 비이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 중앙아시아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