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Extra Form Output
지자체, 기업, 교육, 시스템, 과학, 시립대 
종류 서적 
설명 본 서적은 융복합적 접근으로 기후 회복탄력적 적응을 위해서 국내외 노력, 목표 설정과 전략, 도시, 지역공동체, 기업, 국가 차원에서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등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1) 책 제목: 기후적응 회복탄력적 지구를 위한 전환

 

2) 저자: 김수련(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김은아(국회미래연구원), 김정현(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영주(사회적가치연구원), 박찬(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박채연(일본 국립산업기술종합연구소), 성정희(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이동근(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이재영(통일연구원), 이주엽(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이태동(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희진(사회적가치연구원), 최재연(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현정희(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 홍진규(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3) 책요약

 

기후변화에서 기후적응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극심한 가뭄과 폭염, 홍수와 산불, 해수면 상승에 시달리는 지역이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저감도 중요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기후 취약성을 줄이는 적응이 시급하다. 이 책에서 기후적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한 전문가들이 회복탄력적인 지구를 위한 전환의 방안들을 논의하고 제시한다.

기후적응에 대한 이 책의 접근
- 학제 간 연구를 통해 각 분야에서 어떻게 기후적응을 진행해야 하는지 설명
- 지방정부, 중앙정부, 기업, 개인이 어떻게 기후위기 문제해결을 하고, 기후적응을 해야 하는지 해결책 제시
- 기후적응 기술, 중국의 기후적응 국가전략과 국제협력을 다각도로 조망
- 기후변화와 기후적응에서 회복탄력성이 왜 중요한지,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국가가 추진해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

 

 

9791161930923.jpg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