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 | 지자체, 기업, 교육, 시스템, 과학, 시립대 | |||||||||||
|---|---|---|---|---|---|---|---|---|---|---|---|---|
| 종류 | 서적 | |||||||||||
| 설명 | 본 서적은 융복합적 접근으로 기후 회복탄력적 적응을 위해서 국내외 노력, 목표 설정과 전략, 도시, 지역공동체, 기업, 국가 차원에서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등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 |||||||||||
1) 책 제목: 기후적응 회복탄력적 지구를 위한 전환
2) 저자: 김수련(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김은아(국회미래연구원), 김정현(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영주(사회적가치연구원), 박찬(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박채연(일본 국립산업기술종합연구소), 성정희(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이동근(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이재영(통일연구원), 이주엽(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이태동(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희진(사회적가치연구원), 최재연(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현정희(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 홍진규(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3) 책요약:
기후변화에서 기후적응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극심한 가뭄과 폭염, 홍수와 산불, 해수면 상승에 시달리는 지역이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저감도 중요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기후 취약성을 줄이는 적응이 시급하다. 이 책에서 기후적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한 전문가들이 회복탄력적인 지구를 위한 전환의 방안들을 논의하고 제시한다.
기후적응에 대한 이 책의 접근
- 학제 간 연구를 통해 각 분야에서 어떻게 기후적응을 진행해야 하는지 설명
- 지방정부, 중앙정부, 기업, 개인이 어떻게 기후위기 문제해결을 하고, 기후적응을 해야 하는지 해결책 제시
- 기후적응 기술, 중국의 기후적응 국가전략과 국제협력을 다각도로 조망
- 기후변화와 기후적응에서 회복탄력성이 왜 중요한지,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국가가 추진해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