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Extra Form Output
지역 (Region) 한국 
부문 (Sector) 기후 
주체 (Agent Cat) 기초지자체 
종류 (Attribute) 학술 논문 
 
 
태그 적응계획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적응 경로 적응 프레이밍

[초록]

 

적응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기후 과학을 전달하는 도구와 지역 기후 영향을 측정하고 해결책을 평가하는 방법이 없으면 어려워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 적응 계획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획 수립 과정을 지원하는 최신 의사결정 지원 도구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첫째, 적응 계획과 관련된 최신 연구 문헌을 검토하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전제 조건, 절차 및 방법을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기후변화 적응 대책 세부시행계획」을 분석하여 의사결정 과정의 실행 실태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후 적응 계획의 효율성과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도구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지역 적응 계획은 주로 필수 계획 요소 목록을 완성하는 데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계획의 실행 결과는 아직 평가 및 모니터링되지 않았으며, 장기적 계획을 실제로 추진하기에는 기후 정보 부족, 정량적 평가의 부재, 장기 계획 수립 방법론의 미비 등의 문제로 인해 계획 수립 과정이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경로 기반 적응 계획(Pathway-based Adaptation Planning)이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제안되었다. 이 접근법은 의사결정권자가 불확실한 미래 조건에 맞춰 장기 계획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경로 의존성(Path Dependency)을 고려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효과적인 의사결정 지원 도구의 형태로, 일반적인 정보부터 특정 맥락에 맞춘 정보와 방법을 포함하는 온라인 웹 기반 포털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https://ekscc.re.kr/xml/20338/20338.pdf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