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한국 | ||
---|---|---|---|
부문 (Sector) | 산업 | ||
주체 (Agent Cat) | 대학교(연구소)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대학 리빙랩 지역사회 교육 |
리빙랩을 활용한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한 협업 형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기관-대학 협업 리빙랩의 현황
2)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3)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제언
[초록]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문제해결 혁신 플랫폼인 ‘리빙랩(Living Lab)’을 접목시킨 비교과교양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실제를 분석하여 기관과 대학과의 협업형태로써 대학교양교과로의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질적인 리빙랩 사례를 도출하기 위해 지역사회 주요 기관과 대학이 연계하여 지역사회 쟁점을 도출하고 문제해결의 주체로서 지역주민(마을공동체)과 대학생(리빙 랩동아리)이 함께 참여하는 연합팀활동 방식을 차용했다. 이때의 지역사회 협업 리빙랩 활동은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의 모든 역량을 골고루 키울 수 있는 종합역량활동이면서 동시에 지역사회와 협업한다는 가치를 가진 교양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리빙랩 활동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기 위해서, 15주차의 정규교과가 아닌 3개월 이상, 단계별 활동 구성이 가능한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운영했다.
대학은 세대와 지역을 넘어 대학-학생-주민-기관을 연결하는 ‘소통과 융합’을 실행할 수 있는 인재양 성을 목적으로 함께 프로젝트에 참여토록 결정했다. 대학 비교과교양프로그램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 ⑶실재운영 단계와 ⑷결과검증 단계에 앞서 ⑴유형설계 단계와 ⑵과정설계 단계를 거치며 보다 안정적인 대학 리빙랩 비교과프로그램 모델을 구축했다.
이번 리빙랩 비교과교양프로그램 사례는 ‘활동을 통한 콘텐츠 개발형’으로 진행했다면, ‘토론을 통한 정책제안형’이나 ‘정책제안 및 콘텐츠 개발 혼합형’ 등 다른 형태로의 사례도 충분히 확장으로써 다각적인 교육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면밀하게 프로그램 설계 및 교육효과의 검증을 이루고자 한다.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05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