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Extra Form Output
지역 (Region) 한국 
부문 (Sector) 산업 
주체 (Agent Cat) 대학교(연구소) 
종류 (Attribute) 학술 논문 
 
 
태그 리빙랩 도시 계획 지역사회 교과 과정

도시계획·설계 전공 학생들의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물리적·비물리적 대안 능력 함양을 위한 리빙랩 프로젝트 활용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과 교과과정 개발 및 효과 분석에 대한 내용
2) 리빙랩 프로젝트 수업 사례 분석
3) 리빙랩 프로젝트 활용에 대한 시사점

 

[초록]

  본 연구는 도시계획·설계 전공생들에게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대안제시능력과 함께 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는 비물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관련 비교과과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전공 대학생 총 30명을 대상으로 약 1년 동안 전공 교육 과정과 연계하여 지역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리빙랩 프로젝트의 비교과과정을 운영한 뒤, 전공만족도, 전공 관련 직업 취직 의사, 학업성취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솔로몬 4집단 설계를 활용하여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의 차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리빙랩 프로젝트의 비교과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전공 관련 직업취직 의사가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리빙랩 프로젝트라는 수단을 활용하여 도시계획·설계 전공학생들이 지역 주민, 상인과 호흡하며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물리적·비물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과정이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애착과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 https://doi.org/10.5762/KAIS.2021.22.4.378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