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Extra Form Output
지역 (Region) 한국 
부문 (Sector) 에너지 
주체 (Agent Cat) 주민 
종류 (Attribute) 학술 논문 
 
 
태그 서울 리빙랩 에너지 전환 미니 태양광

서울시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에서 진행된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리빙랩’ 사례를 통해 에너지전환을 위한 리빙랩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성대골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리빙랩 배경, 진행과정, 성과
2) 성대골 리빙랩 시사점

 

[초록]

  최근 에너지전환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에너지전환은 단순히 기술적 요소의 변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요소들의 변화와 조정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시민들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리빙랩(living lab)'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글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 성대골에서 진행된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리빙랩' 활동을 세밀하게 분석한 것이다. 리빙랩을 통해 미니태양광 DIY 제품과 백업센터, 지역 기반 금융상품, 다양한 교육훙보 전략의 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이런 활동과 성과를 전략적 층위, 전술적 층위, 운영적 층위에서 각각 제기되는 질문을 통해서 분석했으며, 더불어 기시환경-레짐-틈새 사이의 상호작용이라는 다층적 관점을 통해서도 다루어졌다. 결론적으로 이번 리빙랩 활동은 에너지 생산과 이용의 지속가능성이라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환랩'의 가능성을 확인해주었다. 특히 전환관리 거버넌스의 운영적 층위, 즉 전환실험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얻었으며, 시민들의 주도적 참여라는 점에서도 두드러졌다. 그러나 어려움 없이 진행된 것은 아니다. 특히 리빙랩이 가진 고유한 속성인 유연성과 재정지원 기관의 관료적 경직성 사이의 갈등이라는 구조적인 문제가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전환의 비전을 형성하고 전환실험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확산하면서 전략적 틈새를 복제 확대하는데 필요한 전략적 층위에서의 '전환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한계도 안고 있었다.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83625683151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