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유럽 | ||
---|---|---|---|
부문 (Sector) | 산업 | ||
주체 (Agent Cat) | 단체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스페인 리빙랩 네트워크 |
코넬라시의 시티랩과 스페인 바르셀로나시의 파바테늄 네트워크 사례 분석과 함의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스페인의 코르넬랴에 위치한 Citilab와 바르셀로나에 있는 공공 팹랩 네트워크인 Fab Athenaeum 분석 내용
2) 함의
① 리빙 랩은 공공 기관이 민간 부문 조직과 만나 혁신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② 구체적인 혁신 결과를 얻는 것보다 개방형 혁신 관점을 구현하는 것이 더 중요함
③ 확장성 및 지속 가능성이 리빙 랩이 개방형 혁신 중재자로서 직면하는 주요 문제임
[초록]
공공 부문 혁신은 정책 입안자와 학자들의 의제에서 중요한 문제이지만, 시민, 기업가, 시민사회 간의 협력과 새로운 기술의 가능성을 활용하는 보다 개방적인 혁신 모델을 촉진하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리빙랩은 공공 개방형 혁신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이 글은 공공 개방형 혁신의 중개자로서 리빙랩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합니다. 분석은 이러한 혁신 중개자의 역학, 그 결과, 주요 과제에 초점을 맞춥니다. 특히 두 개의 리빙랩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접근 방식(반구조 인터뷰 14건, 포커스 그룹 1건)을 채택합니다: 코넬라시의 Citilab과 스페인 바르셀로나시의 파바테넘(공공 팹랩) 네트워크. 이러한 리빙랩의 속성을 철저히 분석한 결과, 이 글은
1) 리빙랩이 공공 기관이 민간 부문 조직과 만나 혁신 중개자로서 기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2) 개방형 혁신 관점을 구현하는 것이 구체적인 혁신 결과를 얻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3)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은 개방형 혁신 중개자로서 직면하는 주요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