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아프리카 | ||
---|---|---|---|
부문 (Sector) | 산업 | ||
주체 (Agent Cat) | 대학교(연구소)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남아프리카 리빙랩 사례 ict |
남아프리카에서 진행된 5개의 리빙랩 사례 분석과 사례 간 비교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웹 사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남아프리카에서 진행된 5개의 리빙랩 사례 설명 및 질적 사례 연구 접근법을 활용한 분석
① Multi-dimensional ICT initiative,
② Innovative business and technology solutions through multi-stakeholder relationships .
③ Community-based research and development from a wellness perspective
④ Project-based LL: Technologies for emerging economies
⑤ Innovative solutions to community problems on a global scale
2) 함의:
① 도시 기반의 리빙랩이 활성화 되어있는 유럽과는 달리 아프리카의 경우 농촌 지역의 커뮤니티와 공동 창작(co-creation) 강조
② 고정된 접근 방식이나 모델에 따라 운영되지 않고, 각 리빙랩의 모델(예: 사용된 프로세스 및 방법), 목표, 이론 및 가치가 상이함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선정된 5개의 리빙랩(LL), 즉 시야쿨라 LL, 림포포 LL, 노스웨스트 LL, SAP 리서치 LL, 재구성된 LL의 주요 특징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LL은 아프리카의 막대한 사회경제적, 개발적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기존 LL이 운영되는 조건을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다양한 LL 간의 공통점(예: 중앙 또는 반복 테마)을 식별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 리빙랩 네트워크(LLiSA)와 관련된 보다 중요한 테마를 식별하기 위해 사례 설명,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포함하는 질적 사례 연구 접근 방식이 뒤따랐습니다. 설문지, 문서 연구 및 인터뷰가 주요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주요 결과로는 LLiSA의 LL이 주로 도시 지역에 위치한 유럽 LL의 '사용자'와의 협력이 아닌 지역사회, 특히 농촌 지역사회와의 공동 창출을 강조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흥미로운 발견은 남아프리카공화국 LL이 선호되거나 고정된 접근 방식 또는 모델에 따라 운영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모델(예: 사용된 프로세스 및 방법), 목표, 이론 및 가치는 하나의 LL마다 크게 다릅니다.
👉 https://researchspace.csir.co.za/items/d626fefe-fa63-432d-ab77-507eb5f0df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