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Extra Form Output
시립대 
종류 학술대회 
설명 본 사업단의 이재홍 연구원이 2024 한국기후변화학회에서 "연령대별 실외 열 적응시설 적응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 수도권 사례연구"에 대해 발표함. 
 
 

1) 발표자명: 이재홍

2) 학술대회명: 2024 한국기후변화학회

3) 발표 주제: 연령대별 실외 열 적응시설 적응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 수도권 사례연구

4) 발표 내용

 

기후변화 빈도 및 강도의 증가는 도시열섬에 대한 사람들의 적응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시들은 도시 열을 완화하고 보행자가 열 환경에서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실외 열 적응시설을 도입하고 있다. 국내 폭염관련 대표적인 기후변화 적응사업 중 취약계층이 아닌 도시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전략으로 차양막, 가로수, 쿨링포그, 벽면녹화, 옥상녹화이 적용되고 있다. 이전 연구들은 도시 인프라 및 조경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선호도와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선호도와 인식을 결정하는 데 있어 연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적응 계획의 현황은 다양한 연령 그룹 간의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다섯 가지 야외 열 적응 시설에 대한 적응 능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고 기후 변화 적응 전략에의 함의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ruskal-Wallis 검정 결과, 녹색 지붕은 15세에서 65세 이상의 여섯 가지 다른 연령 그룹에서 95% 신뢰 구간 하에서, 녹색 벽은 90% 신뢰 구간 하에서 인식 변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광 차단막, 가로수, 냉각 안개는 다른 연령 그룹 간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 결과는 녹색 인프라와 도시 조경이 노년층에게 선호된다는 이전 연구들을 뒷받침한다. 노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년층에서 녹색 적응 시설의 높은 적응 능력에 대한 인식은 야외 열에 대한 효과적인 적응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