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 | 기업 | |||||||||||
|---|---|---|---|---|---|---|---|---|---|---|---|---|
| 종류 | 논문 | |||||||||||
| 설명 |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가 공저한 논문 '공기업 ESG 리더십 연구: 에너지 공기업 사례 비교'가 전문경영인연구에 게재됨. | |||||||||||
1) 논문명: 공기업 ESG 리더십 연구: 에너지 공기업 사례 비교
2) 저자: 이태동(주저자), 김민정(교신저자)
3) 게재 학술지명: 전문경영인연구
4) 초록
본 연구는 ESG (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이 기업의 재무적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 공공재(public-good)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공기업의 ESG 리더십 및 전략을 분석한다. 공기업은 국가 경제의 필수적인 부문들을 제공하므로 ESG 경영은 공기업 경영인이 공기업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적극적인 ESG 이행은 타 산업과 민간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민간기업 ESG 관련 연구에 비해 공기업의 ESG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는 공기업 경영에 ESG를 도입하는 것의 의미와 필요성을 공기업의 특성을 고려해 제시하고, 실질적으로 공기업 경영인이 사회의 지속가능성 목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기업의 ESG 적용 및 평가 기준을 비전화, 지표화, 공시의 세 가지 측면으로 설명한다. 이 세 가지 기준으로 공기업의 가장 주요한 사업 부문 중 하나인 에너지 공급 부문의 ESG 전략 및 실천 사례들을 비교 분석한다. 공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프랑스와 한국의 에너지 공급 공기업인 EDF와 한국전력공사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두 공기업이 환경적 목표를 중심으로 한 ESG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반면 사회적 책임과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명확한 비전과 전략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발견했다. 이에 따라 공기업이 시민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사회적 책임과 지배구조를 강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공기업의 ESG 경영이 타 산업과 민간기업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공공부문의 ESG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기여를 제공한다
5) 논문 연결 링크: https://doi.org/10.37674/CEOMS.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