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 | 교육 | |||||||||||
|---|---|---|---|---|---|---|---|---|---|---|---|---|
| 종류 | 학술대회 | |||||||||||
| 설명 | 본 사업단의 최지은 연구원이 2024 한국기후변화학회 상반기 학술대회에서 "지역 주민 주도 리빙랩 교육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연구" 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 |||||||||||
1) 발표자명: 최지은
2) 학술대회명: 2024 한국기후변화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3) 발표내용: 리빙랩을 지역사회 커뮤니티가 주도한다는 관점에서 결과물 도출을 위한 구체적인 문제의식과 다양한 이해관계자 파악과 리빙랩참여자 대상 사전교육과 가이드라인 필요하며, 리빙랩의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지역 내 리빙랩을 이끌어갈 리더십 요구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지역에서 리빙랩운영 시 리더십을 갖고 운영을 이끌어갈 선도자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리빙랩 교육가이드라인 개발 필요을 위해 “기후적응 리빙랩 선도자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통영시에서 진행된“기후적응리빙랩선도자 교육과정”은 SNS와 포스터를 통해 홍보하여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인터뷰 2회, 이론강의 4회, 워크숍 2회로 본 교육과정을 진행하였다. 인터뷰 2회를 통해 교육 참여자가 교육을 통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터뷰에서는 기후변화와 기후적응: 기후변화와 기후적응 정의, 지역사회에서의 문제점, 해결 필요성 및 가능성, 해결 노력과 방법, 기후적응 필요성에 대해서 인터뷰를 하였다. 교육 종료 후에는 “기후적응 리빙랩 선도자 교육과정” 과 관련한 교육과정 기간 및 횟수, 강의시간, 강의와 워크숍 비중, 강의 수준 및 이해도,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기후적응리빙랩선도자 교육과정”을 통해 기후적응리빙랩의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운영 기반, 통영시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리빙랩운영을 이끌어갈 선도자 인력풀 확보, 통영시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리빙랩 교육 프로그램, 주민 주도 리빙랩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자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후적응”과“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혼재, 워크숍을 통한 리빙랩운영 연습 중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의견을 공유하는 데 어려움, 문제점 들을 보강하여 1-2회 동일 교육생을 대상으로 “기후적응예시”, “리빙랩예시”, “리빙랩운영”을위한 퍼실리테이터기술 등과 같은 심화 교육과정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