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 | 기업 | |||||||||||
|---|---|---|---|---|---|---|---|---|---|---|---|---|
| 종류 | 학술대회 | |||||||||||
| 설명 | 본 사업단의 이태동 교수가 한국기후변화학회 2023년 상반기학술대회에서 "Neighborhood Democracy: Its Concept and Application" 에 대한 발표를 진행함. | |||||||||||
1) 발표자명: 이태동
2) 학술대회명: 한국기후변화학회 2023년 상반기학술대회
3) 발표내용: 일반적으로 의사결정 지원도구는 적응옵션을 선택하여 표출하는 구조로 비용 편익분석, 적응 옵션 식별 및 평가지침 모니터링과 같은 기후변화 영향의 상대적 적응 옵션비용을 산출하는 도구 또는 시각화에 도움을 주는 GIS기반 도구 등을 말한다. 그렇기에 의사결정 도구의 주요 목적은 적응경로에서 적응목표 설정, 적응 주요수단 선택, 대응 대안책 제시 및 적응경로의 피드백 제공 등이 있다.
최근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은 Climate-ADAPT를 활용하여 유럽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수립에 활용하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 기후변화 적응 추진 과정에서 리스크평가(CCRA: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를 통해 적응계획을 수립하는 상향식 프로세스 플랫폼 Adaptation Wizard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사용자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후적응 의사결정 지원도구는 미비한 상태이며 특히 주민-기업-관계부처 등 이해관계 당사자가 체감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도구 설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해관계당사자들이 정책형성의 전 과정에 참여하여 솔루션(Prototype)을 공동창조(Co-Creation)하고 이를 직접 실험 및 검증하는 리빙랩(Living Lab) 방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적응 의사결정 지원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리빙랩 기반 적응경로 의사결정 지원 도구 개발을 실현하기 위해 주체별, 단계별 리빙랩 개발과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개발된 리빙랩을 통한 미래 기후변화 적응 경로를 개발을 통해 최종적으로 적응 부문 및 이해당사자간 통합을 위한 공간과 주체별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