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한국 | ||
---|---|---|---|
부문 (Sector) | 물, 농업, 기후 | ||
주체 (Agent Cat) | 중앙정부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기후서비스 기후변화 다운스케일링 AIMS GFCS |
[초록]
기후변화 및 관련 자연재해에 대한 적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간 규모가 다른 다양한 기후 정보를 과학 기반 기후변화 적응 정책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글로벌기후서비스 프레임워크(GFCS)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다양한 시간 규모 기후 정보는 주로 기상청(KMA)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상 및 수자원 분야에서는 주로 기상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기상 및 기후 정보의 적용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계절별 예보, 기후변화 예측 등 기후 정보의 활용이 미흡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다중모델 앙상블(MMe) 기반 기후 서비스, 원활한 기후 서비스, 다학제적 접근에 기반한 기후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UIP(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제도적 플랫폼으로서 기상 및 기후정보 적용 협력센터 설립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시간 규모의 기후 정보를 사용자 중심으로 다운스케일링하고, 다운스케일링된 데이터를 다양한 분야의 영향평가 모델링에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의사결정 절차에 활용할 수 있는 UIP의 기술 플랫폼으로 APCC 통합 모델링 솔루션(AIMs)을 개발했습니다. AIMS는 제안된 제도적, 기술적 플랫폼 내 생산자 및 사용자 그룹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개발도상국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 적응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https://ekscc.re.kr/xml/13308/13308.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