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Extra Form Output
지역 (Region) 한국 
부문 (Sector) 산업 
주체 (Agent Cat) 주민 
종류 (Attribute) 학술 논문 
 
 
태그 리빙랩 어린이 교통안전 스마트 도시 공공서비스 도시 스마트도시 공공서비스디자인

리빙랩을 적용한 어린이 교통안전 스마트 도시 공공서비스에 대한 연구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 관련 이론
2) 디자인씽킹 방법론
3) 시민참여의 필요성
4) 리빙랩 사례 소개
5) 리빙랩 사례를 통한 함의점

 

[초록]

  지역 재생과 사회 혁신을 위하여 시민 참여에 의한 도시 현안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리빙랩의 적용이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산학협력 역량을 활용하여 고양시 지역사회 문제점을 함께 찾아내고 ICT 기술을 이용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민해결단을 모집하였다.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일산초등학교 주변의 어린이 통학길 교통문제를 발굴하여 디자인씽킹(공감, 정의, 아이디어와, 프로토타입, 테스트)을 방법론의 틀에서 진행하였다. 학부모 마을활동가 모임 <꿈꾸는 민들레>는 통학길 교통 안전을 위하여 심각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번번히 실패하였으나 이번 리빙랩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높았다. 문제정의 및 현장답사 과정에서 여러 이해관계자들을 참여시키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주민의견을 취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문제의 구체화 추진 단계에서 현장조사와 설문을 통하여 통학로 지도완성 하였다. 전문가 자문으로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문제 전문기업,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일산서부경찰서의 자문을 받아 어린이 안전구역 속도 저감을 위한 ICT-LED 스마트팬스를 제작하고 스마트 동심길이라는 시제품을 도출하였고 실증 검증 결과 설치 후 평균 33.83% 감속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산초등학교의 ICT기술을 통한 어린이 안전구역 개선 모델은 도시재생과 연계되어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고 전국 어린이 안전 구역 모델로 정립이 가능하며 도시재생 환경개선 측면에서 리빙랩은 시대가 요구하는 공공서비스 제공의 대안임을 알 수 있었다.

 

👉 http://dx.doi.org/10.18852/bdak.2021.19.1.22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