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한국 | ||
---|---|---|---|
부문 (Sector) | 산업 | ||
주체 (Agent Cat) | 대학교(연구소)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정보 교육 리빙랩 2022 개정 |
K-12 정보 교육을 위한 리빙랩 적용 연구 동향에 대한 기존 문헌 분석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리빙랩
2) 연구 동향 체계적 문헌 고찰 및 결과
3) 연구 결과 기반 리빙랩 연구의 시사점
[초록]
새롭게 개정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과(기술∙가정) 및 정보 교육과정은 '삶과 연계한 학습'을 지향하여 설계되었다. 리빙랩(Living Lab)은 이러한 개정 교육 과정의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을 성취하는데 적합한 교육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빙랩의 K-12 교육과정 적용에 관한 국내외 연구 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연구의 동향과 성과를 고찰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선정된 논문 11편을 대상으로 국내외 리빙랩 정보 교육과정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리빙랩 정보 교육과정 연구의 시기별 연구 동향, 국내외 리빙랩 정보 교육과정 연구의 연구 목적과 연구 유형, 국내외 리빙랩 정보 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연구 유형과 관련 교육과정 내 내용 체계, 국내외 리빙랩 정보 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방법과 상정한 핵심 역량 관련 연구 결과를 초점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리빙랩 K-12 교육과정 적용과 관련한 연구는 2021년 이후부터 다양한 학술적 논의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유형별로는 사용자 주도(User-driven) 유형의 평가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정보 교과 내용 체계 중 디지털 문화 관련 연구가 중점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별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와 혼합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만 연구된 역량들에 대한 중심성이 부족하므로 핵심 역량과 그와 연관된 역량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향후 연구 방향으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