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한국 | ||
---|---|---|---|
부문 (Sector) | 산업 | ||
주체 (Agent Cat) | 대학교(연구소)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고등학교 리빙랩 특성화고 |
리빙랩을 특성화고에서 적용해보고, 고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과 선행연구
2) 연구 방법 및 사례분석 결과
3) 연구 결과 제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주도형 활동 및 융합교육 실현을 위한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 Bottom-up 형태의 사용자 주도형 문제해결 방법론인 리빙랩을 특성화고에서 적용해보고, 고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기존의 PDIE 모형에 리빙랩 요소를 부분적으로 포함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고, 경력 5년 이상 중등교사 14인에게 프로그램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2019년 9월에 토의와 브레인스토밍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공동 문제를 발견하였고, 시스템 개발 및 16차시의 리빙랩 기반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수업 대상은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전자과 3학년 학생들이며, 2020년 8~9월의 5주동안 수업을 실시하고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5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지식정보처리역량과 의사소통역량에 대해서 단일집단 전후검사를 실시하였고, 대응표본 t 검정을 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요소를 기반으로 실제 문제를 발견하였고 흡연감지시스템을 고안·제작하였다. 둘째, 개발된 리빙랩 기반의 수업 자료가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개발된 리빙랩 기반 프로그램이 고등학생 의사소통역량의 하위영역들 중 발신력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내용구성력 및 수신력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http://dx.doi.org/10.22251/jlcci.2021.21.1.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