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한국 | ||
---|---|---|---|
부문 (Sector) | 산업 | ||
주체 (Agent Cat) | 기초지자체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경상남도 리빙랩 지역사회 |
경남지역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분석을 통한 지역사회에서의 비리앱 전략 방향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 개념과 유형
2) 리빙랩 성과 평가 분석
3) 리빙랩 성과 지표 도출 및 평가
4) 지역사회 리빙랩의 전략 방향
[초록]
리빙랩(Living Lab)은 도시 문제와 사회 이슈 등을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지역사회 단위에서 다양한 리빙랩 프로젝트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추진되었던 리빙랩 프로젝트들의 성과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에서 추진한 공공 기반의 10개 리빙랩 프로젝트들의 성과 분석을 통해 현재 리빙랩 프로젝트 추진 실태를 분석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프로젝트의 전략 방향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리빙랩 성과 지표틀의 투입-과정-산출-결과 지표 중 ‘시민 모집’과 ‘민산학연 주체자들의 구성’부문의 점수가 가장 높게 되었다. 또한 성과 지표 결과는 전반적으로 ‘과정’ 지표에 대한 평균값이 높은 편이었고, ‘산출’ 및 ‘결과’ 지표에 대한 성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전략 방향은 ‘제도적 측면’, ‘재정적 측면’, ‘콘텐츠적 측면’의 3가지 방향으로 제시되었으며, 각 부문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자체, 지역대학 연계형 거버넌스 및 협업 구조 또한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구조적 틀 및 유사 리빙랩 프로젝트 설계 시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994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