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한국 | ||
---|---|---|---|
부문 (Sector) | 산업 | ||
주체 (Agent Cat) | 대학교(연구소)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초등학교 교육 리빙랩 데이터 과학 |
교과 선정의 다양한 기준을 중심으로 융합 교과 내용과 목표를 선 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리빙랩의 PDIE 방법론을 재구성하여 데이터 과학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2015년, 2022년 개정 교육과정
2) 리빙랩과 데이터 과학
3) 리빙랩 PDIE방법론을 활용한 데이터 과학 프로그램 설계 및 함의점
[초록]
팬데믹으로 인한 급격한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이 맞물리며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학습자, 사회, 교과의 세 요소의 비중 변화가 불가피한 현실이다. 특히 교육과정에서 '사회'의 비중과 함께 '교육공동체'라는 단어의 범위가 커지고 이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허용 범위가 넓어졌다.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의도하는 교육의 방향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새롭게 등장한 역량과 문해력 등을 함양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방법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 선정의 다양한 기준을 중심으로 융합 교과 내용과 목표를 선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리빙랩의 PDIE 방법론을 재구성하여 데이터 과학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에 대한 평가 요소로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미래 역량 중 '창의성',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내의 문제를 해결하는 스쿨 리빙랩의 효과성 검증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여 일반화에 제한이 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적용 공간을 넓히고 교육공동체 주체의 역할 비중을 다양화 시킨 사후 연구 진행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2214034598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