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Region) | 한국 | ||
---|---|---|---|
부문 (Sector) | 산업, 에너지 | ||
주체 (Agent Cat) | 주민 | ||
종류 (Attribute) | 학술 논문 | ||
태그 | 리빙랩 사례 연구 |
성대골 에너지 리빙랩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 리빙랩 활성화와 운영 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 개념정의와 유형
2) 리빙랩의 특성 및 구성요소
3) 국내 리빙랩 정책 현황
4) 성대골 에너지전환 리빙랩 사례분석
5) 리빙랩의 성공적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초록]
본 연구는 성대골 에너지 리빙랩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 리빙랩 활성화와 운영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검토와 현장조사를 통해 지속성과 개방형 혁신, 그리고 학습 등 총 7가지 리빙랩 평가기준을 도출하고 해당 기준에 따라 성대골 리빙랩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최초의 주민 주도 리빙랩인 성대골의 경우 재정집행의 융통성 부족과 학습 모니터링 시스템 부재 등 일부 부정적인 모습이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요인에 대해서는 상당히 만족할만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리빙랩 실행과정에서의 시행착오가 합리적인 방식으로 극복되고 실험을 진행시킬 수 있는 기초적인 제도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기술적 제안이 반영됨으로써 실험 요인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리빙랩의 특성과 성과 모니터링 부재 등 리빙랩 운영상 보완점들을 발견하였으나 추후 리빙랩 분석의 객관성 제고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평가기법 마련이 필요하다.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3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