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Extra Form Output
지역 (Region) 한국 
부문 (Sector) 산업 
주체 (Agent Cat) 대학교(연구소) 
종류 (Attribute) 학술 논문 
 
 
태그 리빙랩 교육 고등학교

리빙랩 기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의 고시외 과목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내용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공합니다.
1) 리빙랩의 정의 및 프로세스에 대한 이론
2) 고시 외 과목의 개요
3) 리빙랩을 적용한 고시 외 과목 개발 및 함의

 

[초록]

  우리나라 지역사회문제 중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화 현상으로 인한 지방소멸 문제이다.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화는 지방과의 격차를 늘려 사회,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 인구소멸의 문제를 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지역의 청소년 즉, 고등학생의 지역 정주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시민, 기업, 지역기관이 협력하는 파트너십으로 구성된 리빙랩(Livin Lab) 기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의 고시 외 과목을 활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리빙랩은 최근들어 다시 조명받고 있는 기법으로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고등학교의 고시 외 과목의 계획과 수행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교육의 다양화 및 실용성 증대, 둘째, 지역 특화 교육, 셋째, 지역 산업과의 연계 강화, 넷째, 공동체 의식 및 사회적 유대감 형성, 다섯째, 창업 및 자립 역량 강화, 여섯째, 문화적 자산 및 관광 자원 활용 등이다. 이러한 고등학교에서의 고시 외 과목을 활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볼 때, 지역의 청소년들이 더 이상 출신 지역을 떠나지 않고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여건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지방소멸의 문제가 다소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5941

TOP